안녕하세요. 부신기능저하증(Adrenal insufficiency)는 임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상태입니다. 오늘은 부신의 간단한 역할과 부신기능 저하증의 정의와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감별하기 위한 ACTH & Cortisol test를 많이 하는데요. 이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1. 부신의 위치와 역할
부신(Adrenal glands)은 신장 위에 위치한 작은 삼각형 모양의 기관으로, 우리 몸의 중요한 호르몬들을 분비하는 역할을 합니다. 부신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 피질 (Cortex): 글루코코르티코이드(코티솔), 미네랄코르티코이드(알도스테론), 안드로겐과 같은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생성합니다.
- 수질 (Medulla): 아드레날린과 노르아드레날린을 분비하여 스트레스 상황에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부신이 하는 일
- 코티솔(Cortisol): 스트레스 조절, 면역 기능, 대사 조절에 필수적입니다.
- 알도스테론(Aldosterone): 나트륨과 칼륨의 균형을 조절하며 혈압을 안정시킵니다.
- 안드로겐(Androgens):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대사 및 성호르몬 기능에 기여합니다.
2. 부신기능저하증(Adrenal insufficiency)
부신기능저하증은 부신에서 생성되는 호르몬이 부족한 상태를 의미하며, 이는 신체의 여러 대사 과정과 항상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부신기능저하증은 부신 자체의 문제인지, 아니면 뇌하수체나 시상하부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지에 따라 나뉩니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부신기능 저하증의 종류
- 원발성 부신기능저하증 (Primary Adrenal Insufficiency, Addison’s Disease):부신 자체의 손상이나 기능 부전으로 인해 호르몬 분비가 부족한 상태를 말합니다. 대표적인 원인은 자가면역 질환이며, 감염(예: 결핵)이나 전이성 암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질환에서는 코티솔뿐만 아니라 알도스테론 분비도 감소하여 전해질 불균형과 저혈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이차성 부신기능저하증 (Secondary Adrenal Insufficiency):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ACTH(부신피질자극호르몬)의 감소로 인해 부신이 제대로 자극되지 않아 호르몬 생성이 줄어드는 경우입니다. 이는 주로 장기적인 글루코코르티코(glucocorticoid)이드 복용으로 인해 뇌하수체 기능이 억제되거나 뇌하수체 종양과 같은 병리학적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 삼차성 부신기능저하증 (Tertiary Adrenal Insufficiency): 시상하부에서 CRH(코르티코트로핀 방출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여 뇌하수체와 부신 기능이 저하되는 상태입니다. 이 역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치료를 갑작스럽게 중단했을 때 흔히 발생합니다. 코티솔(cortisol) 분비가 주로 영향을 받으며, 알도스테론(Aldosterone)은 상대적으로 유지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2) 증상 및 징후
부신기능저하증은 비특이적인 증상이 많아 진단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다음은 부신기능저하증에서 나타날 수 있는 주요 증상과 징후입니다. 증상은 호르몬 결핍의 정도와 진행 속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급성 부신 위기(adrenal crisis)는 생명을 위협하는 상태로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1) 일반적인 증상
- 극심한 피로감과 전신 쇠약감
- 식욕 저하와 체중 감소
- 메스꺼움, 구토, 복통
- 어지럼증과 기립 시 저혈압
(2) 심각한 징후
- 피부 과색소침착(특히 원발성에서 특징적)
- 저혈당으로 인한 혼돈 상태
- 저나트륨혈증 및 고칼륨혈증
-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으로 인한 혼수 상태 (심한 경우)
3) 진단 방법
부신기능저하증의 진단은 임상적 소견과 호르몬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집니다. 다음은 주요 진단 방법들입니다:
(1) 기저 코티솔 검사(baseline cortisol test)
아침에 측정한 코티솔 수치가 3 µg/dL 미만이면 부신기능저하증이 강하게 의심됩니다.
(2) ACTH 자극 검사 (synacthen test)
- 검사 과정: 합성 ACTH(synthetic ACTH) 250µg 를 정맥 주사하고 혈중 코티솔 수치를 30분 및 60분 후에 측정합니다.
- 정상 반응: 코티솔 수치가 18 µg/dL 이상으로 증가하면 부신기능이 정상임을 나타내고, 반응이 없다면 부신기능저하증으로 진단됩니다.
(3) ACTH 및 알도스테론 수치
- ACTH가 높고 알도스테론이 감소하면 원발성을 시사합니다.
- ACTH가 낮거나 정상이라면 이차성 또는 삼차성을 시사합니다.
(4) 전해질 검사
저나트륨혈증 및 고칼륨혈증은 전형적인 원발성 부신기능저하증의 소견입니다.
(5) 영상 검사
CT 또는 MRI를 통해 부신의 구조적 이상 또는 뇌하수체/시상하부 병변을 평가합니다.
4) 치료 방법
부신기능저하증의 치료는 부족한 호르몬을 보충하고 전해질 균형을 회복시키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1)글루코코르티코이드 보충
- 하이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 하루 15-30mg(bid)을 2~3회 나누어 복용합니다. 아침과 점심에 복용하여 자연적인 코티솔 리듬을 모방합니다.
-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또는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장기간 작용 약물로, 일부 환자에서 선호됩니다.
(2) 미네랄코르티코이드 보충
원발성 부신기능저하증에서는 플루드로코르티손(Fludrocortisone) 0.05-0.2mg을 사용하여 나트륨 유지와 혈압 조절을 돕습니다.
(3)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용량 조절
수술, 감염 또는 심한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용량을 2~3배로 늘려야 합니다.
(4) 급 성 부신 위기(Acute adrenal crisis)의 관리
- 즉각적인 하이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 100mg IV Loading -> 24hr동안 100-200mg 지속주입 혹은 q6hr
- 생리식염수 및 포도당으로 탈수와 저혈당 교정.
- 혈압과 전해질 균형 유지.
ACTH & Cortisol 검사 (시낙텐테스트) 결과 해석
- 코티솔 저하, ACTH 상승(400-2000pg/ml): 원발성 부신기능저하증. 하이드로코르티손과 플루드로코르티손 병용.
- 코티솔 저하, ACTH 정상/감소(0-50pg/ml): 이차성 또는 삼차성. 하이드로코르티손 단독 사용.
'Big5 간호사의 의학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을 많이 자도 피곤하다면 수면무호흡을 의심해보자. 수면무호흡의 진단과 치료방법 (0) | 2024.12.26 |
---|---|
허리디스크와 근육통의 차이 구분해보자! ( 허리통증 원인, 근육통, 허리통증 진단, 허리통증 치료, 디스크 허리수술종류) (3) | 2024.12.22 |
뇌부종 감소를 위한 만니톨(mannitol) 사용과 osmolality 이해하기 (2) | 2024.12.11 |
중환자실 진통제 Fentanyl과 Sufentanil의 작용 기전과 비교, 임상적 논의 (1) | 2024.11.17 |
Acetaminophen, 데노간 투약 시 저혈압: 약리 기전, 위험인자 및 예방 (0) | 2024.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