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서울에서 간호사를 하고있는 형이입니다. 여러분은 잠을 자고 일어나도 여전히 피곤하거나, 밤새 코를 심하게 골았따는 이야기를 들어본 적 있으신고? 이와 같은 증상이 반복된다면 단순히 피곤해서 그런 것이 아닐 수 있습니다. 오늘은 맣ㄴ은 현대인들이 겪고 있지만, 심각성을 모르고 지나치는 질환, 수면무호흡증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수면무호흡증이란?
수면무호흡증은 말 그대로 수면 중 호흡이 멈추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 질환은 호흡이 10초 이상 멈추는 현상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며, 심각한 경우 1시간에 30회이상 나타나기도 합니다. 수면무호흡은 크게 두가지로 나뉘는데요. 어떤 원인인지에 따라 나눠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OSA)
가장 흔한 유형으로, 상기도(코에서 목까지 이어지는 기도)가 좁아지거나 막혀서 발생합니다. 비만, 편도 비대, 또는 기도 구조의 이상이 주된 원인입니다.
2) 중추성 수면무호흡증 (Central sleep apnea, CSA)
뇌의 호흡 조절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발생하는데요. 주로 심부전, 뇌졸중, 또는 특정 신경계 질환과 연관이 됩니다.
소제목
2. 수면무호흡증의 주요 증상과 위험 요인
수면무호흡은 주로 같이 지내는 가족들이 알려주는 경우가 많은데요. 일반적으로 내가 스스로 알아볼 수 있는 증상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수면무호흡 증상
- 심한 코골이: 주변 사람들이 수면 중 큰 소리의 코골이를 자주 이야기한다면 경고 신호일 수 있습니다.
- 수면 중 숨이 막히는 느낌: 자다가 숨이 막히는 듯한 느낌에 깨어난 적이 있다면 의심해보아야 하빈다.
- 낮 동안의 과도한 졸림: 충분히 많이 잤다고 생각해도 낮 동안 극심한 졸음이 느껴진다면 수면의 질이 좋지 않다는 뜻입니다.
2) 위험요인
- 비만: 체중이 늘어날수록 기도가 좁아질 가능성이 커집니다.
- 흡연과 음주: 흡연은 기도 염증을 악화시키고, 음주는 기도 근육을 이완시켜 수면무호흡증을 악화시킵니다.
- 나이: 나이가 들수록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가족력: 가족 중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경우 유전적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3. 수면무호흡증의 진단과 치료
수면무호흡증은 다양한 병원에서 진단을 할 수 있는데요. 공통적으로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를 시행합니다. 병원과 시간을 정하여, 밤동안에 장치를 부착합니다. 장치를 통해 수면 중 뇌파, 산소포화도, 심박수, 호흡 등을 측정해서 수면무호흡증의 존재 여부와 어느정도로 심각한지 심각성을 확인이 가능합니다.
치료 방법
- 생활습관 개선: 체중 감량, 금연, 금주가 가장 수면에 영향을 끼칩니다. 옆으로 누워 자는 습관도 수면을 방해합니다.
- 양압기 치료(CPAP,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기도로 공기를 지속적으로 불어넣어 기도가 막히지 않도록 도와주는 장비입니다. 씨팝의 효과가 정말 좋지만, 초기 적응이 필요하고 불편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요즘엔 국가에서 보험도 지원해주기 때문에 시도해 보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구강내 장치: 턱을 앞으로 당기는 장치로, 경미한 수면무호흡증에 효과적입니다.
- 수술: 편도 제거술, 기도 확장술 등이 심한 폐쇄성 수면무호흡에 시행될 수 있습니다.
- 치료: 중추성 수면무호흡증의 경우, 호흡을 자극하는 약물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수면무호흡, 방치하지 말고, 더 나은 수면을 찾으세요.
저 또한 수면의 질이 매우 낮고, 일어날때마다 머리를 아파하는 사람중 한명입니다. 알고보니 저도 수면무호흡증상이 있어서 수면다원클리닉을 예약해 놓은 상태에요. 수면무호흡증은 단순한 '잠버릇'이 아닌, 심각한 건강문제로 이어질 수 있는 질환입니다. 다행히 적절한 진단과 치료로 증상을 관리 할 수 있으니, 직접 검사를 시행해서 적절한 치료방법을 찾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수면은 우리의 건강을 지키는 가장 기본적인 기초에요. 수면 중 문제가 있다고 느껴지신다면, 컨디션 문제라고 가볍게 넘기지 마시고 반드시 전문가의 진단과 치료를 받아보세요
'Big5 간호사의 의학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플루엔자 A형 독감유행주의보 발령(A형 독감 증상, 격리기간, 예방과 치료) (2) | 2025.01.02 |
---|---|
심정지 후 저체온요법(목표체온 유지치료, TTM) 정리 (2) | 2024.12.27 |
허리디스크와 근육통의 차이 구분해보자! ( 허리통증 원인, 근육통, 허리통증 진단, 허리통증 치료, 디스크 허리수술종류) (3) | 2024.12.22 |
부신기능저하증(Adrenal insufficiency)와 ACTH & Cortisol test(Synacthen test) (3) | 2024.12.20 |
뇌부종 감소를 위한 만니톨(mannitol) 사용과 osmolality 이해하기 (2) | 2024.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