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병원과 일상에서 가장 흔하게쓰는 약물인 NSAIDs(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저는 빅3 기업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입니다. 진통제와 소염진통제, 환자들의 통증을 줄이기에 다양한 약들이 있습니다. Nsaids약물은 좋은만큼 부작용도 확실하죠. 본 글에서는 NSAIDs의 약리학적 작용 기전, 종류 및 특징, 부작용, 의료진이 주의해야 할 사항, 약물 대체방법에 대해서 다루겠습니다.
NSAIDs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종류와 부작용 - 약리학과 종류, 특징.
NSAIDs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종류와 부작용 - 약리학과 종류, 특징
위의 목차를 클릭하면 해당 글로 자동 이동 합니다.
NSAIDs 약리학, 약동학
NSAID는 주로 사이클로옥시게나제(COX, cyclooxygenase) 효소를 억제하여 작용합니다. COX는 아라키돈산을 프로스타글란딘과 트롬복산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물질들은 염증, 통증, 발열을 유발하는 중요한 물질입니다.
- COX-1: 대부분의 조직에서 발견되며, 위 점막을 보호하고 혈소판 기능을 지지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을 생성합니다.
- COX-2: 염증 시 유도되며, 통증과 부기를 유발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을 생성합니다.
NSAID는 COX-1과 COX-2를 억제함으로써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감소시켜 통증, 염증, 발열을 줄입니다. 그러나 각 COX마다 이점이 있습니다. 그 이점을 차단하는것이기 때문에 COX-1의 억제는 위장관(GI)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며, COX-2 억제는 염증을 직접적으로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NSAID의 약동학
약동학은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 과정을 의미합니다. NSAID는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를 억제를 하는데, 프로스타글란딘은 신장으로 가는 혈류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NSAIDs가 이 물질은 억제하게되면 신장으로 가는 혈류를 감소시켜 신장에서 배설이 이루어지지가 않아 신장 손상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신장 기능(GFR)이 감소된 환자에게는 주의하여 사용해야합니다.
- 흡수(Absorption): NSAID는 위장관에서 빠르게 흡수되며, 혈중 최고 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은 보통 1~4시간입니다.
- 분포(Distribution): 주로 혈장 단백질(특히 알부민)에 결합하여 작용 시간을 연장합니다.
- 대사(Metabolism): 주로 간에서 사이토크롬 P450(Cytochrome P450) 효소에 의해 대사됩니다.
- 배설(Excretion): 대부분 신장을 통해 배설되며, 이는 신장 기능이 손상된 환자에게 주의가 필요합니다.
Nsaids의 종류 및 특징
NSAID는 COX 효소 억제 특성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COX-1은 위점막을 보호하고 혈소판기능을 지지하는 프로스탄글란딘을 생성하고, COX-2는 통증과 부기를 유발하는 프로스탄글란딘을 생성한다고 앞서 설명했습니다. 따라서 여기서 무엇을 억제하느냐에 따라 약효가 달라집니다. 왜 COX-2 억제제를 비선택적 NSAID 대신 선택할까요? COX-2 억제제는 염증과 통증을 줄이면서 위장관 부작용이 적습니다. 그러나 심혈관 위험이 증가할 수 있어 이를 고려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1. 비선택적 NSAIDs (COX-1과 COX-2 억제제)
- 이부프로펜(Ibuprofen): 경증에서 중등도의 통증, 염증, 발열 치료에 널리 사용됩니다. 반감기가 짧고, 위장관 부작용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 아스피린(Aspirin): 저용량(81-325mg)에서 항혈소판 효과가 있어 심혈관 질환 예방에 사용되지만, 고용량에서는 위장관 출혈 위험이 높습니다.
- 나프록센(Naproxen): 반감기가 이부프로펜보다 길어 하루 두 번 복용이 가능하지만, 위장관 부작용 위험이 높습니다.
2. 선택적 COX-2 억제제 (Coxibs)
- 세레콕시브(Celecoxib): COX-2만을 주로 억제하여 통증과 염증을 줄이면서도 위장관 부작용이 적습니다. 그러나 COX-2 억제제는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 에토리콕시브(Etoricoxib): 골관절염 및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에 사용되며, 다른 COX-2 억제제와 마찬가지로 심혈관 위험이 존재합니다.
부분 선택적 Nsaids
- 멜록시캄(Meloxicam): 주로 COX-2를 억제하지만, COX-1도 일부 억제합니다. 골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에 사용되며, 비선택적 NSAID보다 위장관 부작용이 적습니다.
NSAIDs의 부작용(Side effect)과 의료진이 주의해야 할 사항
NSAID는 효과적이지만 장기 사용 시 여러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 위장관(GI)부작용
- 위염 및 궤양: COX-1 억제는 위 보호 프로스타글란딘을 감소시켜 위염과 궤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위장관 출혈: 장기 사용 시 위장 점막이 약해져 출혈 위험이 증가합니다.
2. 신장관련 부작용
- 급성 신손상: 프로스타글란딘 억제로 신장 혈류가 감소하여 급성 신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탈수 상태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위험이 큽니다.
3. 심혈관 부작용
- 심혈관 위험 증가: 특히 COX-2 억제제는 혈소판 응집을 증가시켜 심혈관 질환(심장마비, 뇌졸중)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4. 과민반응
- 알레르기 반응: 일부 환자들은 NSAID 사용 시 천식 악화, 비염 또는 두드러기 등의 **NSAID 악화 호흡기 질환(NERD, NSAID-exacerbated respiratory disease)**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5. 의료진이 Nsaids를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
환자의 병력 사정이 필요합니다. 위장관 병력(궤양, 위장 출혈)이 있던 환자에게는 프로톤 펌프 억제제(PPI,proton pump inhibitor)를 사용하여 위보호를 하거나 NSAIDs약물은 피해야합니다. 심혈관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는 COX-2억제제 사용을 피해야합니다.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는 NSAID사용을 최소화해야합니다. 이미 사용중이라면 GFR수치를 확인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단기적으로 사용하는 상황은 급성 통증이나 수술 후 염증 조절을 위해 단기간 사용시에는 안전하게 사용 가능합니다. 하지만 장기 사용시에는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만성 질환에서 NSAIDs를 장기 복용 시에는 정기적인 신장, 간기능 검사와 위장 상태를 모니터링해야합니다.
약물 상호작용을 고려야해합니다. NSAID는 출혈 위험을 높이므로 와파린과 같은 항응고제와 병용 시 출혈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NSAID는 ACE 억제제의 효과를 감소시키고 신장 손상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Nsaids를 못쓸 때 대체 약물
주로 NSAID는 통증을 조절하는 약물이지만, 신장이나 위장관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아세트아미노펜(파라세타몰)을 사용합니다. 진통 및 해열 작용이 있지만 항염증 효과는 없습니다. 위장관이나 신장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 더 안전한 선택입니다. 주로, 타이레놀과 같은 경구제제나 간호사분들은 Denogan이라는 약물을 사용해보셨을 겁니다. opioid(오피오이드)약물은 흔히 아는 마약성 진통제입니다. 중증의 통증에서 사용되지만, 의존성 및 호흡 억제와 같은 부작용 위험이 있기때문에 잘 확인해야합니다. 그 외에 국소 NSAID 연고나 크림 형태로 국소에 적용하여 염증과 통증을 줄일 수 있으며, 전신 부작용이 적습니다.
일반인을 위한 요약
NSAID는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아스피린 등으로 통증, 염증, 발열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물의 종류입니다. 하지만,부작용으로 위장 자극, 궤양, 신장 문제 및 심혈관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장병, 신장 문제, 심장병이 있는 경우 NSAID 사용 전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상담 후 NSAID가 위험할 경우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이나 국소 치료제 사용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NSAID는 통증을 가진 환자에게 정말 필요한 약물이고, 일반인들도 손 쉽게 구할 수 있는 약물입니다. 하지만 부작용도 명확하게 있기때문에 부작용을 알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료진이라면 이 부작용이 약물의 어떤 약리학적 기전 때문에 생기는지 꼭 이해하고 사용해야합니다. NSAID사용이 불가하다해서 환자의 통증 조절을 못하는 것이 아니니 적절한 진통제를 논의하고 환자의 불편감을 감소시켜주어야 합니다.
추천글
간기능 수치와 약물: 우루사, 고덱스, 레가론의 기전과 효능, 각 약물 차이점
본 글은 병원에서 일하는 간호사들과 일반인들이 간수치에 따른 우루사, 고덱스, 레가론에 대해 이해를 시켜드리고 각 약물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알려드리기 위해 글을 썼습니
nursemoney.tistory.com
Cooms test의 모든 것: 자가면역 용혈성빈혈 및 임신 중 혈액검사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쿰스테스트를 진행하신 중환자실 간호사이신가요? 혹은 병원에 입원했는데 자가면역 질환이야기를 하면서 이 검사를 진행한 산모신가요? coombs test가 어떤 검사인지 알게
nursemoney.tistory.com
뇌경색의 모든 것: 정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법
안녕하세요. 일상에서 뇌경색으로 쓰러졌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나요? 흔히들 뇌졸중과 뇌경색 많이들 어려워하고는 합니다. 병원에 근무하는 저도 뇌경색환자는 흔하게 볼 수 있는데요. 오늘
nursemoney.tistory.com
'Big5 간호사의 의학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etaminophen, 데노간 투약 시 저혈압: 약리 기전, 위험인자 및 예방 (0) | 2024.09.15 |
---|---|
뇌 구조, 뇌 해부학에 알아보기.(Brain anatomy) (1) | 2024.09.14 |
뇌경색의 모든 것: 정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법 (4) | 2024.09.08 |
간기능 수치와 약물: 우루사, 고덱스, 레가론의 기전과 효능, 각 약물 차이점 (0) | 2024.09.07 |
PTBD와 PTGBD 차이점 모든 것: 정의와 삽입 적응증 차이, 배액 양상, 확인해야 할 수치 (0) | 2024.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