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ig5 간호사의 의학 정보

뇌경색의 모든 것: 정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법

by 형이. 2024. 9. 8.

뇌경색의 모든 것에 대한 썸네일 입니다.
뇌경색의 모든 것

안녕하세요. 일상에서 뇌경색으로 쓰러졌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나요? 흔히들 뇌졸중과 뇌경색 많이들 어려워하고는 합니다. 병원에 근무하는 저도 뇌경색환자는 흔하게 볼 수 있는데요. 오늘은 이 뇌경색(Stroke)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드리고 뇌경색이 생겼을 때 어떤 증상이 나타나고 병원에서는 어떻게 치료를 하는지 간단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뇌경색이 궁금한 일반인부터 중환자실,신경과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선생님들까지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했습니다.

 

뇌경색의 모든 것을 파악하기. 뇌경색의 정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법

 

뇌경색의 모든 것 파악하기

1. 뇌경색의 정의

2. 뇌경색의 원인

3. 뇌경색의 증상

4. 뇌경색의 진단법

5. 뇌경색의 치료법

6. 뇌경색의 예방법

추천글

위의 목차를 클릭하면 해당 글로 자동 이동 합니다.

1. 뇌경색의 정의

뇌경색은 뇌의 혈관이 막혀서 뇌에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뇌로 가는 산소와 영양 공급이 중단되면 뇌세포가 허혈이나 괴사가 발생하며 손상되게 됩니다. 이때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뇌경색은 허혈성 뇌졸중의 한 형태입니다. 뇌출혈과는 달리 뇌혈관이 터지지 않고 막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영구적인 신경학적 손상을 초래하는 질병입니다.

2. 뇌경색의 원인

뇌경색의 발생 원인은 주로 막히는 것이라고 앞에서 설명했습니다. 어떠한 원인으로 혈관이 막히게 되는지 설명드릴게요.

  •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 혈관 벽에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방 물질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는 경우입니다. 내경동맥이나 중대뇌동맥 등 큰 동맥에서 발생하는 죽상경화에 의해 혈관이 좁아지거나 폐색 됩니다.
  • 부정맥으로 인한 심장이 원인이 된 색전증(Cardioembolic stroke):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이나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이 발생하면 심장 내 혈전이 생기게 됩니다. 이 혈전이 떨어져서 뇌혈관으로 이동하게 되면 뇌혈관의 길을 막아 폐색을 일으킵니다.
  • 소혈관 질환(Small vessel disease, Lacunar infaction): 주로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이 원인이 됩니다. 고혈압은 소혈관에 압력을 가해 손상시킵니다. 당뇨병은 혈관 내피에 손상을 주면서 혈관 벽의 두께를 증가시켜 소혈관의 기능을 저하시킵니다. 고지혈증은 혈관에 지방 침착이 이루어져 혈관을 막게 됩니다. 대게 크기가 15mm 이하이고, 뇌의 주요 기능에 영향을 크게 미치진 않지만, 장기적으로 신경학적인 장애를 초래합니다.

 

 

3. 뇌경색의 증상

뇌경색의 증상은 갑자기 발생하며, 혀혈 부위에 따라 다양합니다. 여기서는 전조증상과 초기증상 및 일반적인 증상을 나열하고, 허혈부위에 따른 대표적 증상을 나열하겠습니다. 

1) 뇌경색의 전조증상

뇌경색의 전조증상은 뇌경색이 발생하기 전에 나타나는 신호로, 조기에 발견하면 예방적 조치나 응급실 방문을 할 수 있습니다.

얼굴 한쪽, 팔, 다리가 갑자기 힘이 빠지거나 감각저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얼굴이 한쪽으로 쳐지거나 팔다리기가 움직이기 어렵습니다. 말이 어눌하거나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말소리를 내기가 어렵거나, 상대방이 말을 했을 때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발음 또한 부정확하거나 말이 어눌해집니다. 동시에 한쪽 눈의 시야가 흐릿하거나 앞이 안 보입니다. 걷는 중에 갑작스럽게 균형 잡기 어렵거나, 걷기 어렵고 방향 감각이 상실됩니다. 일어설 때 어지럽거나 비틀거리기도 합니다. 가장 중요하게 갑작스럽고 심한 두통이 발생합니다. 모든 두통이 뇌경색은 아닐 수도 있습니다. 평소와 다른 심한 두통이 발생하면 응급실을 찾길 바랍니다.

1) 일반적인 뇌경색의 증상

  • 편측 마비: 한쪽 팔이나 다리가 갑자기 힘을 잃고 움직이기 어렵습니다.
  • 언어 장애: 말을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말을 이해하기 어려운 증상
  • 시야 장애: 시야가 갑자기 흐려지거나 한쪽 시야가 보이지 않게 됩니다.
  • 균형 감각 이상: 걸을 때 균형을 잡기 어렵거나 어지러움이 발생
  • 얼굴 비대칭: 얼굴 한쪽이 내려앉거나 비대칭적으로 보입니다.

2) 허혈 부위에 따른 대표적 증상

  • 중대뇌동맥 경색(MCA Infarction): 반신 마비(hemiplegia), 편측 감각 장애, 언어 장애(브로카 실어증, 베르니케 실어증), 반맹(hemianopia)
  • 전대뇌동 경색(ACA infarction): 대게 하지에 두드러진 편측 마비와 무동증(akinesia), 인격 변화등이 있습니다.
  • 후대뇌동맥 경색(PCA infatction): 시야 장애, 동측 시야결속, 시각 기억 상실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납니다.

4. 뇌경색의 진단법

뇌경색은 빠른 진단이 매우 중요합니다. 병원에서 흔히 사용하는 진단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Brain MRI를 통해 급성 허혈성 변화를 조기에 감지하고 병변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히 확인 가능합니다. CT angiography(CTA)는 혈관 폐색 부위를  확인하는데 효과적이며, 검사시간이 길지 않아서 응급 상황에 제한되지만, 신속한 평가가 가능합니다. 심장 초음파(Echocardiography)는 부정맥이나 심근경색으로 생긴 심장 기원 색전증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부정맥을 가진 사람은 심장 내에 혈전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전 심장 초음파 검사에서 있던 혈전이 없어졌는지 확인하는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혈액 내 콜레스테롤, 혈당 수치 등을 측정하여 위험 요인을 확인합니다.

5. 뇌경색 치료법

뇌경색은 빠른 시간 내에 치료가 이루어지는 게 핵심입니다. 뇌경색이 생긴 시간에 따라 치료가 나뉘며, 치료의 핵심은 재관류입니다.

  • 정맥 내 혈전용해술(IV tPA, intravenos thrombolysis): 막힌 혈관을 뚫기 위해 혈전을 녹이는 방법입니다. 증상 발생 후 4~5시간 이내에 조직형 플라스미노겐 활성제(tPA)를 투여해서 혈전을 용해하는 방법입니다.
  • 동맥 내 혈전 제거술(intra-arterial thrombectomy) :굵은 혈관이 막혔을 때, 시술을 통해서 혈전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6시간 이내에 혈관폐색이 되었을 때 스텐트 레트리버(Stent retriever)를 사용하여 혈전을 직접 제거합니다. 최근에는 대혈관 폐색 시 24시간까지 치료가 가능하다고 논의되고 있습니다.
  • 항응고제: 심방세동과 같이 부정맥이 있는 환자의 경우 wafarin(와파린)이나 NOAC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혈전이 생기지 않도록 예방합니다. 
  • 항혈소판제: 죽상경화증으로 인해 뇌경색이 발생했을 때에는. Aspirin, clopidogrel(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과 같은 항혈소판제를 사용해서 재발을 예방합니다.

 

6. 뇌경색 예방법

뇌경색 예방은 위험 인자 관리가 핵심입니다.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고혈압 조절: 고혈압은 뇌경색의 주요 위험 요인이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하고, 의사와 상담하에 항고혈압제(ACE inhibitor, ARB, CCB(칼슘채널차단제))등의 약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혈전 약물을 통한 혈전 예방: 부정맥이나 고위험원인에 따라서 와파린이나 NOAC사용, 또는 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을 사용하여 혈전형성을 방지합니다. Statin(스타틴) 약물을 통해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70mg/dl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금연과 운동: 흡연은 혈관 건강을 해치고, 운동을 통해 혈관 건강을 유지하고 체중조절을 해야 합니다.
  • 식사관리: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음식은 죽상경화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채소와 과일을 충분히 섭취하는 게 도움이 됩니다.

 

뇌경색이라는 상황은 누구에게나 언제든 올 수 있지만, 그만큼 원인도 뚜렷합니다. 주기적인 건강검진과 혈액 수치를 확인하며 담당의와 함께 예방을 논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만, 혈액의 수치가 기존보다 높다고 해서 무조건 뇌경색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니, 수치에 과하게 민감하게 생활하지 마시고 예방과 위험성애 대해서 인지하면 좋습니다. 이미 뇌졸중이 발생한 환자를 받게 된 간호사분들은 혈전용해술(tPA)과 Thrombectomy가 이루어질 것을 예상하고, 해당 시술 후 관리법에 대해서 공부하시면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추천글

 

간기능 수치와 약물: 우루사, 고덱스, 레가론의 기전과 효능, 각 약물 차이점

본 글은 병원에서 일하는 간호사들과 일반인들이 간수치에 따른 우루사, 고덱스,  레가론에 대해 이해를 시켜드리고 각 약물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알려드리기 위해 글을 썼습니

nursemoney.tistory.com

 

 

PTBD와 PTGBD 차이점 모든 것: 정의와 삽입 적응증 차이, 배액 양상, 확인해야 할 수치

간담도계 해부생리 간담도계는 간, 담낭, 담관으로 구성되며, 소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간에서 생성된 담즙은 담관을 통해 담낭에 저장되며, 식사 후 지방이 포함된 음식이 소장에

nursemoney.tistory.com

 

 

Cooms test의 모든 것: 자가면역 용혈성빈혈 및 임신 중 혈액검사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쿰스테스트를 진행하신 중환자실 간호사이신가요? 혹은 병원에 입원했는데 자가면역 질환이야기를 하면서 이 검사를 진행한 산모신가요? coombs test가 어떤 검사인지 알게

nursemoney.tistory.com

 

 

기관지내시경(bronchoscopy) 검사 목적 및 간호

기관지내시경 검사(bronchoscopy)란?호흡기의 구조를 잘 이해하는 것이 기관지 내시경 검사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호흡기는 코와 입에서 시작해서 후두를 지나 성대를 통과한 후, 기관과 기

nursemoney.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