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담도계 해부생리
간담도계는 간, 담낭, 담관으로 구성되며, 소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간에서 생성된 담즙은 담관을 통해 담낭에 저장되며, 식사 후 지방이 포함된 음식이 소장에 들어가면 담낭이 수축해 담즙을 방출합니다. 담즙(bile)은 지방의 소화를 돕는 중요한 소화액으로, 총담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분비됩니다.
담관(bile duct)은 여러 분지로 나뉘는데, 좌우 간관이 합쳐져 총간관(common hepatic duct)이 되고, 여기서 담낭에서 내려오는 담낭관(cystic duct)이 만나 총담관(common bile duct)을 형성합니다. 이 구조들은 복잡하게 얽혀 있지만 담즙이 원활하게 흐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담도계의 흐름이 막히거나, 염증이 발생하면 담즙이 정체되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PTGBD와 PTBD를 삽입해야 하는 상황과 질병
PTGBD(Percutaneous Transhepatic Gallbladder Drainage, 경피경간 담낭배액술)와 PTBD(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경피경간 담도배액술)는 담즙의 흐름이 차단되었을 때 이를 외부로 배액시키는 시술입니다. 이 두 시술은 비슷한 목적을 가지지만, 그 대상 기관과 적응증이 다릅니다.
PTGBD 시술을 해야하는 상황
- 급성 담낭염(Acute cholecystitis): 특히 중증 환자나 수술 위험도가 높은 환자에서 응급으로 담즙을 배액하기 위해 PTGBD가 사용됩니다. 담낭 내의 염증과 담즙 정체를 완화하여 감염 확산을 막는 목적입니다.
- 담낭의 천공 위험(Gallbladder perfoation risk): 급성 염증이 너무 심해 담낭이 파열될 위험이 있을 때 시행합니다.
PTBD 시술을 해야하는 상황
- 담관 폐쇄(biliary obstruction): 담석, 종양, 협착 등으로 담관이 막혔을 때, 담즙이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못하여 담즙 정체와 황달을 일으킵니다.
- 담관암(biliary cancer) 또는 췌장암(pancreatic cancer): 종양이 담관을 압박해 담즙 흐름을 차단하는 경우.
- 외과적 담도 수술 후 합병증: 수술 후 담즙 누출이나 담관 폐쇄를 해결하기 위해 PTBD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PTGBD와 PTBD 설명 및 비교
PTGBD(percutaneous transhepatic gallbladder drainage) 경피경간 담도배액술
- 목적: 담낭 내 담즙을 외부로 배출하여 염증을 감소시키고 담낭이 파열되는 것을 예방합니다.
- 삽입 위치: 담낭에 직접 배액관을 삽입합니다.
- 적응증: 급성 담낭염, 담낭 천공 위험, 고위험 수술 환자에서 수술 대체 시술.
- 배액량: 하루 평균 200~500mL 정도의 담즙이 배액됩니다. 이는 담낭 내에 정체된 담즙의 양에 따라 다르며, 처음에는 많은 양이 나오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줄어듭니다.
- 주의사항: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해 배액관 관리에 주의해야 하며, 담즙이 정상적으로 배액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TBD
- 목적: 담관이 막혀 담즙이 배출되지 않는 상황에서 담즙을 외부로 배출하거나 담관을 다시 개통시키기 위해 시행됩니다.
- 삽입 위치: 간의 담관에 배액관을 삽입하여 담즙이 담관을 통해 배출되지 못할 경우 직접 배액합니다.
- 적응증: 담관 폐쇄(담석, 종양 등), 담도 협착, 담관염 등의 경우에 사용됩니다.
- 배액량: 하루 300~800mL 정도의 담즙이 배액되며, 상황에 따라 변동이 큽니다. 담관의 막힘 정도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배액량이 달라집니다. 주의사항: 배액관이 막히거나 감염되는 것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며, 색상이나 배액 양상의 변화에 주의해야 합니다.
PTGBD와 PTBD 비교
- 차이점: PTGBD는 담낭에 직접 접근해 배액하는 반면, PTBD는 담관을 배액하는 방법입니다.
- 적응증의 차이:PTGBD는 급성 담낭염과 같은 담낭 문제에서 주로 사용되며, PTBD는 담관 폐쇄 및 담즙 흐름에 문제가 있는 경우 시행됩니다.
- 배액 관리: PTBD의 경우 담즙의 색깔, 배액량 변화를 통해 담관의 막힘 여부를 주의 깊게 살펴야 하며, PTGBD는 담낭 내 염증이 줄어드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담즙의 정상 배액과 비정상 배액 양상
정상 배액
담즙은 투명한 녹갈색을 띠며, 하루 배액량은 약 300~800mL 정도입니다. 색상이 일정하고, 냄새가 심하지 않으며 점도가 적당해야 정상입니다.
비정상 배액 양상
- 배액량 감소: 배액관이 막혔을 가능성, 담관이 다시 막혔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배액 색상 변화: 어두운 갈색 또는 검은색: 출혈 가능성을 의심해야 하며, 의사에게 즉시 보고해야 합니다.
- 탁한 색상(cloudy bile): 감염을 나타낼 수 있으며, 배양 검사를 시행해야 할 수 있습니다.
- 배액이 되지 않을 때: 담관 또는 담낭이 막혔거나 배액관이 위치에서 벗어났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의사에게 보고해야 할 사항
- 배액량 급감 또는 증가: 배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지나치게 많다면 담관의 막힘이나 추가적인 병리적 상태를 시사할 수 있습니다.
- 배액 색상 변화: 출혈 또는 감염을 의심해야 합니다.
- 환자의 전신 상태 변화: 발열, 복통, 황달 등의 증상은 즉각적인 처치를 요할 수 있습니다.
간담도 질환에서 확인해야 할 Lab 수치
- 빌리루빈 (Bilirubin): 혈중 빌리루빈 수치는 담즙 흐름이 막혔을 때 급격히 상승합니다. PTBD 시술 후 빌리루빈 수치가 서서히 감소하는 것이 정상적인 경과입니다.
-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ALP): ALP 수치는 담도계 장애를 나타내며, 담관이 막히거나 담즙 흐름이 비정상적일 때 상승합니다.
- C-반응성 단백질(CRP) 및 백혈구 수치(WBC): 감염 또는 염증의 지표로, PTGBD 및 PTBD 후 감염 징후가 의심될 경우 확인해야 합니다.
- 간 기능 검사(LFT): ALT, AST와 같은 간 효소 수치를 모니터링하여 간 기능의 변화를 파악합니다. 시술 후 간 손상이나 담즙 정체가 있을 경우 수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Big5 간호사의 의학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NSAIDs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종류와 부작용 for 의료진 (1) | 2024.09.09 |
---|---|
뇌경색의 모든 것: 정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법 (4) | 2024.09.08 |
간기능 수치와 약물: 우루사, 고덱스, 레가론의 기전과 효능, 각 약물 차이점 (0) | 2024.09.07 |
Cooms test의 모든 것: 자가면역 용혈성빈혈 및 임신 중 혈액검사 (2) | 2024.09.04 |
기관지내시경(bronchoscopy) 검사 목적 및 간호 (2) | 2024.09.03 |